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안녕하세요?

풍경입니다.

임고서원에서 만난 하얀 모시 두루마기를 입으신 어르신 사진을 찍었는데,

찍기만 하고 사진 보내주는이가 없다고,

사진을 보내 줄 수 있느냐는 어르신 말씀에 보내드리겠다고,,,,,,

그리고 실천을 했었지요. 사진을 찍어서 우편으로 보내 드렸다는 소식,

전에 발행한 글에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긴추석연휴를 끝내고 출근해 보니, 편지 한통이 저를 기다리고 있네요.

짧지만 답장을 주신 선생님께 저도 감사합니다.

사람의 인연의 끈이란 어디서 어떻게 만나서 묶어질지 모릅니다.

이번일을 계기로 언제 어디서나 성실하고 진심을 다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진을 잘 찍지도 못한걸 보내드려 죄송스러운데 이렇게 편지로 답장을 주셨습니다.

편지 내용은 이렇습니다.

"아름다운 마음씨의 소유자,

ㅇ ㅇ ㅇ 씨 정말 감사합니다.

시골 늙은이의 체면없이 요구한것

다 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진이 실물 보다 낮게 잘 나왔읍니다.

항상 행복하게 사시기 바랍니다  2014.09.01 "

사진 찍어서 보내 드렸을 뿐인데, 이렇게 정성으로 편지를 써서 보내주시니

제가 다 민망합니다.

 역시 서원에서 만난 어르신이라 연배가 훨씬 어린사람에게도

예를 다해 주시는것 같습니다.

덕분에 언제나 바르게 진실함을 가져야 겠다는 다짐을 해 봅니다.

고맙습니다. 김 창회 선생님.

 

 

 

posted by 산위의 풍경

자연을 찾아 휴식을 갖는 즐거움은 매번 더욱더 원하는 휴식의 방법인것 같다.

추석 휴가가 길어서 시댁도 다녀오고, 친정 나들이도 할 수 있었다.

이제 친정이 있는 양평은 내가 살았던 기간보다 떨어져 지낸기간이 더욱 길어졌다.

친정엄마를 모시고 가볼만한곳을 찾다가 서후리 숲을 가게 되었다.

사실 서후리 숲은 그렇게 알려지지 않은 숲이다.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서후리에 있다.

입장료는 어른 \5,000원이고 어린이는 3,000원이다.

은행나무길,구상나무길,측백나무길,층층나무길,단풍나무길, 자작나무숲등 각 나무별로 산책로를 따라 걸을 수 있다.

A코스와 B코스의 길이 있는데 각각 1시간과 30분씩 걸리는 길인데

친정 엄마가 걷기 싫다고 서후리숲 입구에 주저 앉으셨다는 남편 전화에 나가려니까, 그냥 혼자 천천히 걷고 오란다.

사람이 기다리면 마음이 급해 지는법,

천천히 여유롭게 걷고 싶은 길을 후다닥 올라갔다 오느라 땀 뻘뻘,,,그래도 소개해주고 싶은 숲이라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서후리 숲은 오랜기간 준비해서 작년에 열었는데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강원도쪽엔 정말 자작나무숲이 유명하고 좋은곳이 많지만

양평의 서후리 숲도 이에 빠지지 않는다.

숲은 생명이요, 치유의 공간이다.

일부러 숲을 찾고 산을 찾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 나는데,

내고향에 이렇게 좋은 자작나무 숲이 있다니 반갑고 기쁜 소식이다.

가족과 찾아보면 좋은곳 서후리 숲이다.

입구에서 5분도 채 안되서 카페가 있다.

걷기 싫다면 이곳에서 휴식을 해도 좋겠다.

펜션도 두곳 사용 할 수 있는데, 숲 관리자에게 문의하면 되겠다.

 

 

 

 서후리 숲은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개방시간이다.

 서후리 숲 입장료 어른 5,000원

어린이 3,000원

 

 

 

 

 

 단풍나무길, 가을이면 더욱 예뻐질테지.

 

 

 

 

 

 

 

 

 

 

 필자가 가장 좋아 하는 자작나무숲

쭉쭉 시원하게 뻗어 있는 나무들

보기만 해도 기분 좋아 진다.

놓치지 말길,,,,자연에서의 휴식.

 

 

 

 

 

 

이게 뭘까?

숲에서 뱀이 나올 수도 있다면서

작대기 하나 들고 가라고 한다.

걸으면서 뱀을 만나지는 않았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

나는 낭만 고양이~

낭꼬 라는 카페에 들어가보면

낭만 고양이 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고양이 카페 아닙니다. 라고 쓰여있다.

옛날 팥빙수와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시켜놓고

골목 투어의 다리쉼을 했다.

작고 아담한 카페는 조용해서 쉬기도 편안했다.

옛날식 팥빙수도 한그릇 하면서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는 여행의 마무리를 하고 있었다.

가끔은

통키타로 연주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운 좋으면 기타소리를 들을 수 있다.

서상돈고택,이육사 생가에 갔다가 들렀던 작은 카페,

여행의 쉼표 낭꼬였습니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

 영천여행할때 꼭필요한 영천역시간표,영천터미널 시간표

영천여행은 앞으로 자주 가야할 곳이기 때문에 시간표를 공유해 둔다.

대중교통을 이용한 여행시에는 이런것들이 꼭 필요했다.

영천 시장근처에 영천역과 영천터미널이 있기때문에

이용하기 편리하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

휴일 뒹굴거리다가

문득 기장 향교에  5시까지 가면 내부를 볼 수 있다는 소리를 들어서

서둘러 기장군 기장읍 교리로 향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해서 기장 향교를 가려면 교리초등학교앞에서 하차하면 된다.

특별히 기장 마을버스 6번은 문화그린 아파트까지 가니까 그곳에서 하차하면 된다.

 마을버스 6번의 회차지점이기도 하고, 시내버스 39,139,183,36, 좌석버스 1003번까지 가지만 집에서 출발 할때가 이미 4시가 넘은 시간이라

급한 마음에 택시를 잡아 타고 갔다.

향교앞에 서니, 옆에서 얼큰하게 한잔 드신 어르신이 말을 걸어 오신다.

" 향교가 뭐하는덴줄은 알아?"

안그래도 향교 문이 잡겨 있어서 어쩌나 하고 있었는데

" 여길 볼 수는 없나요?"

했더니 지금은 볼 수 없다고 평일 오후 5시 전까지 오면 볼 수 있다고 하셨다.

" 그럼 직장인들은 기장향교를 절대 못보겠네요?"

하면서 "여기 올 때마다 잠겨 있어서 못봤어요"

했더니 거짓말이라고 하셨다.

정말 기장 살면서 휴일에 여러번 기장 향교엘 갔지만 항상 문이 잠겨 있는 모습만 보았다.

여기저기 알아보면서 향교를 관리하는 곳이 있다는것을 알았고

전화번호를 알게 되었다.

확인전화를 했더니 역시나 오후 5시전까지 와야 볼 수 있다고 했었다.

그래서 어떻게 지금 볼 수 없느냐고 말씀드렸더니, 지금 풍화루가 풍화되서 공사중이라 하셨다.

들어가 보라고 길을 알려 주셨다.

감사한 마음에 들어갔더니, 일하시는분 두분이서 대패밥을 마대에 담고 계셨다.

역시 부산 광역시 기념물 제 39호로 지정된 기장향교를 복원하는 일이라 제대로 나무를 깍아서 원형을 유지 하는것 같다.

한양에 성균관이 있었다면 각 지역의 교육은 향교가 담당 했을텐데, 전국에 향교가 많이 남아 있는것은 우리 민족이 예전부터 교육열이 높았나보다.

고려말에서 조선시대까지 대표적 관학 기관이며 지방의 민풍과 예속을 순화하고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제행과 교육및 교화의 기능을 담당한것이 향교라고 한다.

기장 향교는 광해군 9년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지금 남아 있는 대부분의 건물은 이때 조성된 것이다.

건물의 배치형식은 직선축에 전학후묘의 전형적 배치로 경사지의 위계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외삼문은 3칸의 솟을 대문으로 세심문 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세심문 뒤로 풍화루가자리하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익공양식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취하고 있다.

대성전 정면은 기둥의 중간부분까지 초석이 올라와 독특한 입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벽에도 방화벽을 잡석으로 샇아 건물을 보호하려는 의지가 보인다. 정면 3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 내부는 넓은 대청으로 이뤄져 있다.

시도유형문화재 제 215호 (1983.08.12 지정)  문화재 215호 | 문화재 216호
 
분류
유적건조..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기장 향교 :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 417번길 35

 기장향교

051-721-3287

기장에 오래 살았지만 기장향교를 처음 들어가 보는 것도 새삼 스럽고 놀랍다.

풍화루가 제대로 복원이 되서 깨끗한 기장향교를 다시 만나고 싶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1&VdkVgwKey=23,00390000,21&queryText=(`기장향교`)z_title

 

 

 

 

 

 

 

 

 

 

 

 

 선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사당인 대성전

 

 대성전으로 연결되는 돌계단....

 

 

 

 

 

 

 이 대청에 앉아서 교육을 받았겠지.

 

 

 명륜당

 

 

 

 

 

 

 

 

 

 

 

 이 향교는 1617년(광해군9)에 창건한 것이라 하며, 1855년의 상묘중수기가 남아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경내의 건물은 대부분 이때 조성한 것이다.

향교는 1440년(세종22)선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자리한 전학후묘로 전형적인 배치양식이며, 경사지의 위계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외삼문은 3칸의 솟을 대문으로 만들었고, 세심문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세심문 뒤로는 풍화루가 장대하게 자리한다.

보통 누각이 대문의 기능을 겸하는 것과는 달리 정면3칸, 측면 2칸에 중충인 푸화루는 익공양식에 겹처마, 팔작 지붕의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띠고 있다.

명륜당의 좌우에는 교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가 있으나 대성전에는 동서무가 없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의 정면은 기둥의 중간 부분까지 초석이 올라와 독특한 입면을 이루고 있다.

양측 측면 벽에도 다시 방화벽을 잡석으로  쌓아서 비바람으로 부터 보호하려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 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다.

지금은 봄과 가을에 석전제를 봉행하고 있다.

돌담에 박하나 덩그러니....

 2014기장향교 충효교실 청소년 하계인성예절교실 개강 현수막이 붙어 있다.

 돌담이 푸근하다.

 

기장향교 세심문

posted by 산위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