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대구여행은 요즘 가장 많이 찾는 여행지이다.

아들 덕분에 대구 영천 곳곳을 빠삭하게 알아갈 지경이다.

학교 행사때문에 옥천에 다녀오면서 동대구에서 아들을 만났더니

밤중에 특별히 가 볼만한 곳은 딱히 떠오르지 않았다.

그래서 모처럼 엄마 아빠와 추억공감을 위한곳으로 김광석 다시그리기길에 가보기로 했다.

전에 혼자 왔었는데, 은은하게 흐르던 김광석 노래 때문에 울컥 가슴이 울먹여졌던 곳,

그곳에 아들과 손잡고 걸어보고 싶었다.

남편은 뒤에서 따라오고 아들과 손잡고 걸었다.

장성한 아들의 손을 잡고 걷는 한장의 추억을 가슴에 새겼다.

거리는 조용했다.

방천시장의 밤거리는 족발집들이 즐비하고 떠들석 했지만, 옆의 김광석 길은 한산한듯 보였다.

딱 한곳. 분비는 곳이 있다.

추억의 문방구.

어릴적 봤었던 군것질거리가 가득했다.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그것은 추억을 기다리는 느낌이다.

아이들이 어릴때 초등학교 앞 문방구에 자주 갔었다.

내가 어릴때 그토록 소망하던 군것질거리들의 추억 때문에.

오늘 또 그 추억과 마주했다.

추억은 오래 될수록 더욱 선명하고 그리워진다.

김광석 다시그리기 길에 새로운 명소가 탄생한것 같다.

이길은 어차피 추억의 길이다.

김광석을 그리며 또 어릴때의 추억도 마주하게 되는곳.

아들과 걸어서 더욱 행복한 길이다.

 

 

 

 

 

 

 

 

 

 

 

 

 

 

 

어느 60대

 

 

 

노부부의 이야기, 서른즈음에,

posted by 산위의 풍경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어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자국도 섰지 마라 웃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에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라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쁜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잡혔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이상화 시인은 1901년 대구에서 태어나 계산동 고택에서 1943년 4월 25일 별세한 민족시인이다.

일본 침략시기에 대표적 저항 시인으로 손꼽힌다.

근대 문학에 한 획을 그은 큰 자취를 남긴 시인이다.

애국이 무엇인가를 글을 통해 실천하고 가르친 시인이다.

대표적 시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역천,통곡,시인에게,나의 침실로 등이 있다.

1925년부터 신경향파에 가담하여 사회성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대구에서 교편활동과  저술활동을 했다.

지금의 대구시 계산동의 이상화 고택은 1998년 이상화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2002년 고택 보존대책협의가 이뤄지고  이상화 고택보존을 위해 100만인 서명운동을 했으며 모금운동을 펼쳐 현재의 고택을

보존하게 되었다.

이상화 고택과 서상화 고택까지 보존하게 되었다 

 이웃해 있는 서상화 고택도 찾아보자.

다도 체험도 할 수 있다.

근대의 정신적 지주 두분이 이웃해 살았다는 것은 굉장히 신기하고도

대단한 일인듯 하다.

대구에서 배출된 가장 큰 인물들로 손 꼽을만 하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

옥천 지용제에 갔다가 내려오는길.

출발할 때는 버스로 다같이 출발을 했는데, 돌아올때는 동대구에서 군생활하는 아들을 만나기로 한날.

아빠가 먼저 병영체험을 하고 아들을 데리고 나와서 같이 시간을 보내고 있을텐데, 마음이 바쁘다.

학교 행사때문에 옥천여행을 하게 된날, 관성회관에서부터 옥천역까지 걸었다.

길을 잘 몰라서 물어 가느라 25분쯤 걸렸는데, 길을 알고 걸으면 얼마 되지 않을 거리다.

관성회관에서 옥천역까지15분쯤 거리다.  필자가 걸음이 좀 빠른편이다.

관성회관은 지용제의 행사를 주관하는 곳으로 세미나와 학술 포럼등 지용제와 관련한 교수등 전문가들의 논문 발표도 있는곳이라 지용제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코스다.

그리고 지용생가는 관성회관에서 걸어간다면 30분정도 걸린다.

지용생가 주변에는 고육영수여사의 생가가 있어서 찾아 보면 좋을듯.

향수길이라 해서 옥천역부터 도보 여행을 해도 좋을 듯 하다.

아마 군 복무 하고 있는 아들을 만나러 갈 약속이 없었다면 옥천에서 하룻밤 묵으며 향수길을 걷고 싶기도 했다.

다음 여행때 해 볼 생각이다.

여행지의 기록으로 옥천역 열차 시간표와 열차운임표를 남겨둔다.

 

 

 

 

 

옥천역 열차 시간표

 

옥천역 열차 운임표

 

 

 

 

 

posted by 산위의 풍경

정지용.

시인처럼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우리스러운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또 있을까?

아름다운 시어가 눈앞에 그려지는 풍경을 만들고

들려오는 새소리를 만들고

불어오는 바람소리를 듣게 한다.

대국민적 시인 정지용의 시.

향수는 아름다운 시어에 곡까지 아름답게 붙여져 사람들의 뇌리에 박힌다.

김희갑 선생이 향수의 곡을 붙였는데, 시와 그 노래를 부를 사람들의 목소리에 맞춰 곡을 붙이느라 고심하셨다는 후문이다.

정지용 생가는

시인의 시에서처럼 실개천이 흐르는 초가집 소담하게 앉아 있었다.

실개천이야 개발로 옛 모습을 잃었지만 그래도 물길은 여전히 생가곁을 흐르고 있었다.

정지용 문학관도 생각 바로옆에서 자리해서 사람들의 발길을 잡는다.

월북시인으로 분류되어 금지되었던 정지용 시인의 시는 1988년 다시 태어났다.

해금이 되고 정지용 시인을 그리던 분들의 힘으로 지용제가 탄생되었다.

올해로 벌써 27회째다.

중심적 행사는 관성회관에서 하지만

일부러 생가도 방문해 본다.

생가가 있는 마을분들의 봉사로 뜨끈한 육개장으로 점심을 얻어 먹었다.

시인의 어린시절을 보냈을, 아내가 지키고 있었던집.

향수 시에서 너무나 그 모습 선명하게 떠올리게 되던곳 옥천을 방문해 보았다.

 

 

 

 

 

 

 

 

 

 

 

 

 

 

 

 

 

 

 

 

 

 

 

 

 

 

 

 

 

 

 지용문학관

 

 

 

 

posted by 산위의 풍경

안녕하세요?

완연한 가을 날씨입니다.

하늘은 높고 파란 가을날, 흰구름이 뭉게 뭉게 피어오르는 토요일,

휴일을 맞아 철마면에 있는 나온 허브농원에 알밤줍기 체험에 나서 봅니다.지난번 기장군에 내린 폭우로 이곳 역시 수해를 입었다고해요.

열심히 수해 피해복구를 하고 있는 기장군에 힘이 나도록 우리 열심히 체험하고

기장군에 많이 방문해 보아요.

드림농원이 내년부터 개관할 나온 허브농원으로 이름이 바뀐다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벌써 많은 어린이들이 체험을 하고 있네요.

가족과 또는 선생님과 함께 온 어린이 들이 고사리 손으로 알밤을 줍고 있어요.

밤나무 아래는 풀을 모두 베어 놓아서 잘 보이니까, 걱정 안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알밤 줍기 체험은요 입장료가 있어요.

어른 5,000원

어린이 3,000원이예요.

줏은 밤은 1kg은 가져 갈 수 있고요, 그것보다 더 주우면 kg 당 2,000원 추가예요.

알밤 줍기는 밤껍질 가시에 찔리지 않도록 조심 해야 하는데, 장갑을 준비해 주셔서 안심이예요.

집게도 개인이 준비해 오면 더욱 안전하겠지요?

이곳은 14년전부터 농촌 체험 학습으로 알밤 줍기를 하는 곳인데요, 내년부터는 또 새로운 변신

나온 허브농원으로 태어난다고 합니다.

지금은 한창 준비 작업을 하고 있어서 내년의 변화된 모습이 더욱 궁금해 지고 있습니다.

알밤 줍기 체험후, 알밤 구워 먹기도 할 수 있어요.

어린이가 있는 가족은 주말 기장 근교 가까운 농촌체험을 할 수 있는곳

나들이 어떠세요?

토실 토실 알밤 구워 먹는 재미도 쏠쏠할 것 같아요.

9월부터 10월 둘째주 정도까지만 가능하답니다.

부산시 기장군 철마면 장전리 17번지

나온허브농원

문의 하실곳 : 051-721-6253

 

 

 

 

posted by 산위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