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2012. 10. 8. 05:51 풍경 기행

10월 07일 일요일.

이날은 제가 요즘 별도로 하고 있는 공부. 결전의 날.

자격 시험 날이었어요.

원래는 제가 좋아 하는 등산을 가야 정상인데, 아쉬움을 뒤로하고,

새벽에 일어나 남편님의 도시락을 쌌지요.

" 도시락 안 싸도 괘안타~. 자기 시험 보기도 힘들긴데, 고마 푹 자다가 시험 보러 가요~"

하며 만류하는 남편님.

그래도 제가 산에 다녀 보니까, 목메이는 김밥 달랑 드시는 분들이 왠지 .....안스런 마음이 들더라구요.

제 남편님도 오늘 그런 모습일까봐 그건 또 싫어서 반찬을 했지요.

추석때 친정집에가서 캐온 도라지도 까서 오이랑 새콤 달콤 무치고, 황태포도 세마리 물에 담갔다가 매실 고추장 황태찜을 만들고,

그리고 친정집에서 가져온 묵은지로 참치와 볶았어요.

이렇게만 만들면 간단한 도시락 반찬 만들기 끝이지요.

" 잘~ 다녀오세요. 완전 부럽당~~" 하며 남편을 배웅 했어요.

남편은 시험 잘 보라며 초콜렛을 제가 넘기고 출발 했지요.  정말 부럽더라구요~

각자의 하루를 보내고 돌아 온 밤.

" 시험 어땠어 잘 봤어요? " 남편은 제게 묻데요~

" 응 그럭 저럭~(늦은 밤에 답지 맞혀 보니까, 한과목은 합격인데, 한과목은 아슬 아슬 턱걸이 하게 생겼던데...삐딱하면 떨어질 판입니다. ㅋㅋ)

"어땠어요? 등산 잘 했어요? 좋았겠다~~ 지금 딱 걷기도 좋은데....."

만물상으로 등산을 갔거든요. 가야산 줄기의 통제 해제된지 얼마 안된곳! 저도 꼭 가보고 싶었는데...

아쉬움이 컸지만....

그런데 남편님~ 제게 무얼 내밀어요.

" 자~!! 이거 당신주려고 가져왔어요." 하며 내밉니다.

뭘까요?

.

.

.

그것은 새빨간 납엽 한장 이었습니다.

"자기 한테 가을을 배달해 주려고 들고 왔어요~"

하며 내미는 빨간 단풍잎.

막 웃었어요.

" 제가 그런거 말고~ 이제 내나이는 그런 감성적인거 말고, 보석같은걸 달라규~!!" 그렇게 말하며 투정했지만,

그 단풍잎 한장 가져 오려고 베낭에 얼마나 고이고이 신경써서 가져 왔을까 싶은 생각에 웃음도 나고 행복해 집니다.

이남자는 저를 왜 쥐락 펴락 할까요?

집으로 배달온 가을 덕분에 행복한 밤이었습니다.

 

 

 

치사하게 달랑 낙엽 한장이지만, 그래도 하루종일 시험보는 내 생각하며 걸었노라 말해주는 남편님.

그마음 가득 담아 단풍잎 전해주는 가을 전령사 남편님 때문에

오늘 하루 신나게 기운내서 살아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환절기 감기 조심 하시구요~

행복하루 보내셔요~이웃님들~!!

posted by 산위의 풍경
2012. 10. 6. 15:51 맛있는 레시피

황태찜, 어려운게 아니랍니다.

다들 집에 추석에 쓰고 남은 황태포 하나씩 있지 않으실까요?

황태포를 어떻게 해 먹을까 고민하다가 매실고추장 황태찜을 해 봤습니다.

너무 허겁 지겁 먹다보니, 사진 찍는걸 잊어 버려서...

할수 없이 국거리로 사다놓은 황태포로 대신합니다.ㅋ

준비 할것도 얼마 없어요.

재료 :황태포,매실액, 마늘,고추장,후추가루약간,볶은 참깨,올리고당(없어도 되고요~)

재료가 너무 간단하죠?

매실 고추장 황태찜.

간단한 재료지만 그 맛은 정말 좋은 매실고추장 황태찜 .

황태포는 물에 살짝 불려 줍니다.

건져서 찜기에 넣고 살짝 김을 올려 줍니다.

이때 우리는 양념 고추장을 만들어야죠~

간단합니다. 준비한 고추장 분량에 후추가루 약간 넣고 매실액 넣고 볶은 참깨를 넣어주면 끝! 좀더 반짝이게 하고 싶으면 올리고당을 약간 넣어 주셔도 됩니다.

양념된 고추장을 김올린 황태에 발라 주시고 다시한번 한김 올려 줍니다.

그럼 매실 고추장 황태찜 만들기 끝!

 아주 부드럽고 맛있는 별식이 탄생 할거예요.

 

 

 

만들기는 쉽지만 정말 맛있는 매실고추장 황태찜.

오늘 도전해 보세요. 별식으로, 도시락 반찬으로도 좋아요~

주말 휴일 특별한것 한가지 기다리셨다면 매실고추장 황태찜

도전!

posted by 산위의 풍경
2012. 9. 27. 08:02 풍경 기행

추석날은 돌아가신 친정 아버지 생신날이기도 합니다.

딸만 넷인집이어서 아버지 돌아가시고 아버지 제사를 우리집에 모시고 와서

남편에게 참 감사했습니다.

그런데, 9월3일 시아버님이 돌아가셔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시아버님 제사도 지내야 하는 믿이인 남편.

양쪽 기일 제사는 전통 제사로 지내고 추석이나 설날의 제사는  종교식으로

간단히 과일과 포만 올려서 지내자고 합니다.

안그래도 시아버님 돌아가시고

며칠있다가 친정엄마 걱정이 가득하셔서 전화가 왔습니다.

" 아버지 제사는 지내지 말지 이제..... 너 시아버님 제사도 지내야 되는데..."

"......엄마 그렇다고 아버지 제사를 내가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안지내요?  걱정 마세요 간단하게라도 지낼테니까..."

눈물이 쏟아 질것 같습니다.

이럴때, 정말 결혼한걸 후회 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양쪽에 어른들 물론 중요 합니다.

그렇지만 결혼했다고 당장에 친정 아버지 제사부터 못지내게 되는 이런 상황이 너무 원망스럽습니다.

그럼 지금 한둘밖에 낳지 않아서 이땅의 딸들은 친정 제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더군다나 추석날은 아버지 생신 날이다 보니 더욱 친정 아버지 생각이 많이 납니다.

작년에도 추석에 상을 차리면서 " 아버지 살아 계실때 이렇게 차려 드렸으면 얼마나 좋아 하셨을가?"

그러면서 눈물이 핑 돌았는데, 올해는 시아버님 상차려야 한다고, 친정 아버지 제사는 과일만 올리자는 남편이

미워 죽겠습니다. 물론 친정 엄마와 친정 언니 동생들에게도 이야기를 했지만,

제사를 모셔올때도 제를 지내고 영정을 모셔왔는데, 갑자기 제사를 바꾸면서 돌아가신 아버지께 알리지도 않고

이렇게 확 줄여서 해도 될런지 모르겠어요. 돌아가셨지만, 얼마나 섭섭하실까요?

시아버님상은 이번이 첫 명절이니 크게 차려 드린다면서....

그리고 아버님 모신 추모 공원까지 다녀와서 친정 아버지 제사를 지낸다 하니, 좋은 맘일리 없습니다.

"그렇게 늦게 어떻게 제사를 지내?" 하니 제 남편님 큰소리 치십니다.

" 새벽에 갔다올거니까, 빨리 갔다와서 하면 된다!"  과연 그럴까요?

아버님 추모 공원은 다른날 가더라도, 친정 아버지 제사부터 지내야 하는거 아닌가요?

결혼한 여자는 친정일 챙기려면 왜 죄인같은 마음이 드는걸까요?

제사건으로 불화의 씨가 자라고 있는것 같아 내내 마음이 찜찜 합니다.

이럴때 우리 이웃님들은 어떻게 할지 궁금 하네요.

좋은 방법 없을까요?

==================구글 이미지================

posted by 산위의 풍경
2012. 9. 26. 07:37 맛있는 레시피

버리기 아까운 김치 담고 남은 양념 처리법

김치 담고 양념이 딱 맞으면 더할나위 없는데, 쬐금 남았을땐, 버리기도 아깝고,,,,양념값이 얼만데???

비싼 고추가루 덕분에 요즘 양념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그러니, 김치 담다가 남은 양념이라도 버릴수는 없습니다.

자~ ! 이럴때 오징어 볶음을 해봤습니다.

재료:  오징어 두마리, 깻잎약간, 배추잎 몇장,무우약간,양파한개,콩나물. 양념은 김치 담고 남은거로 하겠습니다.

오징어는 다이아몬드식으로 칼집을 넣어서 썰어 줍니다.

양파와 배추잎,무를 썰어주세요.

김치 양념을 골고루 묻혀 줍니다.

냄비에 한소끔 끓인후 콩나물을 넣고 한김 올려 줍니다.

골고루 섞어서 간을 봅니다.

제가 한건 약간 싱겁더라구요. 간장 약간 더 넣고, 올리고당도 좀 넣었습니다.ㅋ

김치 담고 남은 양념 어떻게?

오징어 덮밥으로 먹어도 손색없는 남은 김치 양념 처리법이었습니다.

요즘 배추가 고소하니 맛이 있어요. 매콤하게 오징어 볶음해서 쌈싸 드시면 정말 좋아요~

오늘도 맛있는 하루 보내셔요~

 

 냉장 보관하던  김치 담고 남은양념 입니다.

 콩나물도 씻어 놓지요.

 재료는 썰어서 냄비에 담았어요.

 골고루 양념을 묻혀 줍니다.

 콩나물도 얹어 한김 올렸습니다.

 완성이 됐네요

 

 

오징어 볶음을 배추에 싸서 먹으니 더 맛있네요 ^^

posted by 산위의 풍경

이계절 산행 떠나기 너무나 좋은 계절입니다.

날씨도 선선하니 좋은데다 파란 하늘에 흰구름은 마치 어디라도 데려다 줄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가을 산행 떠나 볼까요?

영남 알프스 산행중에 억새 산행으로 꼽는다면 간월재 하늘 억새길을 꼽을 듯 합니다.

이번엔  지인 넷이서 떠나 봅니다.

등억 온천단지 있는쪽 신불산 주차장에서 출발합니다.

제일 먼저 만나는것은 홍류폭포지요.

좌측으로 붙어서 계단을 오르기 시작해야 합니다. 가파른 산길은 해발 1000고지 넘는 산행길을 수직으로 상승 시키듯

힘겹게 올라야 하지요. 한고비 넘겼다 싶으면 이제 바위를 타고 오르는 로프 구간이 나타 납니다.

이게 끝이 아니지요. 다 올랐는가 싶었을때 신불산 공룡 능선과 칼바위가 우리를 맞이 합니다.

두사람 두사람씩 앞서거니 뒷서거니 걸어 왔는데, 로프 구간부터 차이가 많이 나서 칼바위 앞에서 기다립니다.

일행을 기다리다 보니, 점점 가슴은 새 가슴이 되어 갑니다. 산꾼들 칼바위에 지나가는것 보니까 점점 자신감이 없어지는 겁니다.

등줄기에 땀도 다 식어서 서늘한데, 공포감이 밀려 오네요. 같이 가던 일행 한분 벌써 칼바위 지나가 주시고....

망설이던 풍경이 칼바위 하나 통과 하기로 마음 먹고 우회합니다.짧기 때문에 금방 지나가요~

공룡 능선은 계속 이어집니다. 바위사이를 오르내리고 안개가 살짝 끼어서 멀리까지 깨끗하게 보이지는 않지만 이제 얼추 추수할때가 되어가듯

노릇한 들판이 열려 있지요.

신불산 정상에는 돌탑과 데크가 깔려 있어서 전망하기 좋은곳입니다.

아~!!! 산은 겹겹이 펼쳐져 둘레를 두르고 있네요. 저곳에 오른산과 오르지 못한산이 있을겁니다.

앞으로 무한히 갈 수 있는곳이 있다는 희망도 생깁니다.

이제 우리는 억새 평원을 향해 갑니다.

점점 먹구름이 달려 듭니다. 영축산쪽에 구름이 점점 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점심 먹어야 하는데~ 나무 계단을 내려서다가 잡목과 갈대가 우거진 평지에 앉아서 점심을 먹고 출발합니다.

후두둑 빗방울이 떨어지긴 하지만 약합니다.

간월재 데크에는 많은 산꾼들이 빙 둘러 앉아 있네요.

우리는 바로 직선으로 통과 합니다.

신불산에서 내려오는쪽은 이미 억새가 피어 날아가버린 볼품 없는 억새더니, 영축산 방향으로의 억새는

탐스럽게 피기 시작합니다.

아~ 못 보는줄 알았더니, 드디어 보게 되는군요.

계단을 따라 쫙 펼쳐진 억새숲이 장관입니다.

그래~ 이걸 보려고 우리가 온거지. 날씨가 쾌청 했으면 더 아름다운 사진이 나왔겠지만, 드넓은 억새를 보는 것만으로도 신나서 갑니다.

영축산 가는길은 그래도 수월합니다. 가파르지 않고 자꾸만 뒤돌아 보아도 우리가 지나온길이 저멀리 보입니다.

헉~~! 우리가 언제 이만큼 걸었나 싶게 신불산 정상이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영축산 정상석을 찍었을때 빗방울이 후두둑 댑니다.

오늘은 우비를 안 넣어왔는데.....일단 카메라와 휴대전화는 이만 베낭 속으로 들어가야겠습니다.

가방 커버를 씌우고 하산을 위해 갑니다.

영축산 정상에서 지산 마을쪽으로 하산을 합니다.

점점 분위기는 침울해 지네요. 빗방울이 들기 시작하더니 하산 지점은 비에 살짝 젓은 돌들이 미끄럽기도 하고요, 구름이 끼어 어둑해 집니다.

괜히 마음은 바빠지지만 실제로 시간이 늦은 시간은 아니기때문에 조심히 내려섰습니다.

내려설 수록 흙길은 수막이 생긴것처럼 미끌거려요. 약간 궂은 날씨에 이렇게 애 먹는 등산로를 만드는군요.

지산마을 내려섰을때 4시 50분 산행이 마무리 되었네요.

출발은 10시 30분이었지만 계속 산행을 한건 아니고 휴식과 기다림의 시간이 있었기때문에 실제 걸은 시간은 6시간 30분쯤 되겠네요.

가을산행, 암벽산행,로프구간까지 혼합되어 있는 흐뭇한 산행을 마칩니다.

이가을 어디로든 떠나고픈 마음이 들게 하는 계절 산행 한번 어떠실가요?

 

 

 

 

 

 

 

 

 

 

 

 

 

 

 

 

 

 

 

 

 

 

 

 

 

 

 

 

 

 

 

 

 

 

 

 

 

빗방울이 들기 시작하는 영축산

 

 

posted by 산위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