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2018. 10. 12. 11:11 맛있는 레시피/무침
10 월7일진주 유등축제를 보러 여행갔을때, 점심 식사하러 진주중앙시장을 갔어요. 유등축제는 밤이니  점심을 먹고나서 여유롭게 시장을 돌아다녔어요.점심을 먹었지만, 풀빵도 사먹고 이곳저곳 어슬렁거려  봅니다. 어떤할머니가 파는 고들빼기가 짧고 탐스럽게 있는 겁니다. 지나쳤는데 자꾸 생각이나서 돌아가서 고들빼기 2단을  샀습니다. 여행중에 짐 만들기싫어서 잘 안사고 싶은데,  또 여행지 특산물을 보면 사고싶어진답니다. 여행당일 집에 늦게 도착해 고들빼기는 던져두고 잠들었어요. 새벽에 눈뜨자마자 손질시작!  2단 다듬는데 무려 2시간 30분이나 걸렸어요. 대충 씻어 소금물에 담가 눌러놓았어요.1주일담가놓을 작정이었지만 내일 산행 반찬으로 가져가기 위해  오늘10 월12일 고들빼기 김치담기를 시작합니다. 5일 소금물에담가두었던 고들빼기를 씻어요. 잔모래가 나오기 때문에 씻고씻고~~반복! 모래가 안 나올때까지~.  부안에다 주문한 새우육젓을 다지고 갈치액젓도 넣고요. 풀대신 밥을 갈았어요. 쪽파도 다듬어 씻고 3등분 썰었어요. 생강은 껍질을 벗겨 밥 갈때 같이 갈고요. 간 마늘, 볶은깨, 추석에 엄마가 주신 매콤한 고추가루도 준비하고요. 작년에 담가둔 수제 매실액도 준비. 설탕도 약간.
자~~이제 전부 합쳐서 쉣킷 쉣키~~ㅎㅎ양념을 버무리니~신이시여. 정녕 이 고들빼기 김치를 제가 담았나잇까?ㅎㅎ넘나 맛있는 고들빼기 김치가 완성 되었어요. 가을철별미 김치  고들빼기 김치, 입맛돌지 않나요?  맛있는 하루 보내세요~

posted by 산위의 풍경
. 복천박물관 근처에 볼일이 있어갔다가
금귀고리 전시회가 열린다는걸 알게 되었 습 니다. 입장도무료이고 약속시간보다 좀이른 시간이 라서
전시회장에 들어가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의 고분 에서 발견된 금귀고리 들이 각 나라별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 나누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금세공기술이 요즘것이라 해도 믿을 만큼 정말 정교하고 아름다웠습니다·
역시 손재주가 좋은 조상님들 덕분에 이렇게
아름다운 귀고리 들을 볼수 있네요 장식적인 것뿐아니라 신분을 나타내거나 어떤 행사용으로 착용했던 것 같아요. 대단히 크고 복잡한 모양으로 봐서 말입니다.
이렇게 한자리에서· 삼국의 것과 가야, 고려에서 조선까지 살펴볼수 있는 것에 놀랍습니다. 가까운 곳의 복천박물관, 들러보셔서 우리 선조들의 예술성, 그 뛰어난 솜씨에 감탄 해 보지 않으실래요?

posted by 산위의 풍경
경주여행
날씨도 너무좋은 가을 날,불현듯 무조건 떠나고픈 날의 여행이었습니다. 혼자의 여행이 좋은이유는 언제든 맘 먹었을때 떠나면 된다는 것이지요. 코레일앱에서 표를 예매하고 달려가 봅니다. 기장에서 경주까지 기차요금 5000 원. 왕복 1만원의 가벼운 여행!
그래서 더 신나고 즐거운 여행이었을수도 있겠습니다. 경주로 무작정 떠날 때는 축제기간인 줄  몰랐는데 경주역에 도착하니 풍물놀이가 한창이고 말을 끄는 병사 신라인 복장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안내소에서 '첨성대를 가려고 한다 몇번버스를 타야하나요'물으니 친절하게 안내해 주십니다.
첨성대에 가는길  팔우정이라는 곳 첨성대방향 우측에 코스모스가 드넓게 펴 있더군요. 가을엔 이런 코스모스밭 꼭 인증샷 남기고 싶잖아요? 발길이 저절로 그리 향하네요. 한참을 거닐다 정신차리고 첨성대로 걸어갑니다. 핑크뮬리에 사람이 어찌나 많은지 꽃반 사람 반인 듯 합니다.
핑크뮬리의 묘한색감이 사람을 유혹하는 매력같습니다. 첨성대 근처에 이렇게 사람 많은 걸 첨 봤어요. 다양한 꽃이 식재되어 있어서 충분히 즐기며 돌아봤답니다. 첨성대 인증샷도 남기고 말입니다. 어는가을 날, 혼자라도 충분히 행복한 여행! 지금 떠나보실래요?


posted by 산위의 풍경

영동군에 위치한 반야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로 영동의 백화산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백화산의 바위 너덜지대에 나타나는 호랑이 모양도 유명하지만 500년 묵은 백일홍 나무  배롱나무,

극락전 앞에 2그루가 요즘 한껏 꽃을 피워내 아름답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반야사는 호국의 길 둘레길을 걷다가 가게 되었는데, 뜻하지 않은 극락전 앞에 피어 있는 백일홍 나무에 반해서

한참을 그 앞에서 서성였습니다.

500년 보호수라고 간판이 서 있더군요. 반야사는 그리 오래되어 보이지 않는데

나무가 더 오래된 이곳의 터주인것 같습니다.

보호수 지정 사유를 보면 반야사 건립 270년 추정이라고 하는데, 또 3층 석탑의 안내문에는 신라시대 반야사 건립당시 건축한것으로 써 있으니 고개가 갸우뚱해집니다.

어느 것이 맞는지는 모르겠고, 일단 저의 기억에는 배롱나무가 강렬하게 자리할 것 같습니다.

2그루의 배롱나무에서 피어낸 분홍꽃의 향연이 아름답고, 꽃이 떨어지면서 바닥에 깔리는 분홍빛 융단~도 굉장히 아름다울것 같거든요.

생각지도 않았던 반야사 배롱나무꽃의 아름다움에 반했습니다.

지금이 한창이니까, 바로 가보시면 볼 수 있어요. 조금 선선해 졌네요. 나들이 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호랑이 형상의 돌무더기가 유명한 반야사

 

극락전 앞 백일홍때문에 출사 오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반야사 극락전은 창건연대는 정확치 않으나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추정되며 내부에는 중생에게 자비를 베푸는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다.

원래 반야사의 대웅전을 건립된 건물이었으나 1993년 현재의 대웅전을 새롭게 건립한 이후 극락전으로 이용하고 있다.

현재 반야사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이다. (극락전 앞 안내문)

 

극락전 앞 3층 석탑

이 탑은 전형적인 신라 말고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단층 기단형 삼층 석탑으로

신라 문성왕 8년 반야사 창건 당시(846년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지대석 위에  1층 기단을 이루고 그 위에 탑 몸돌을 올리고 있으며, 상륜부에는 노반탑의 꼭대기 층에 있는 네모난 지붕 모양의

장식과 복발 노반위에 주발을 얻어 놓은 것처럼 만든 장식이 올려져 있다. 2층의 탑신은 1층에 비해 급격히 낮아지고 있으며

 1층의 지붕돌 받침은 5단인데2층과 3층은 4단으로 되어 있다.

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곳으로 불상과 동일시되는 경배의 대상이다. (3층석탑 안내문)

보물 제1371호

 

보호수

배롱나무 

수령 500년

수고, 8미터, 7미터

나무둘레, 0.8미터, 0.6미터

지정번호 영동-13호

소재지 : 영동군 황간면 우매리 151-1번지

지정사유: 반양사(창립270년) 사찰내 생립하고 있는 희구 노거수임

나무특징: 사찰내 마당에 양측으로 생립하고 있으며 좌측나무는 지상 1.0m높이에서 흉고 20cm정도의 5개로 갈라져 자라고 있음

 

반야사의 명물, 호랑이 모양,  백화산 돌무더기가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