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계룡산 산행을 남편과 둘이서 나섰습니다. 동학사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산행을 시작합니다. 조금 걷다보니 우측으로 남매탑 방향이라는  이정표가 보여요. 우측으로 들머리를 잡습니다.숙박업소들이 주르르 있어서 여기가 진짜 탕방로가 맞나싶은 생각이 들때쯤 천정탕방센터가 나타납니다.
작은 계곡을 옆에 두고 부드러운 산길을 걸어 올라갑니다. 바람 한점  없이 무더운 여름날이었습니다.  차량으로 달려올때 온도 36 도였으니, 오늘 아주 느리게 산행을 하자싶었지요.
남매탑까지 겨우겨우 걸어갔는데 이미 땀으로 위아래 온 몸이 젖은상태였습니다. 상원암을 지나 삼불봉으로 오르는길, 재에서 우측으로 데크로 된 휴식처가 있었습니다.간단히 점심을 먹는데, 계속 물만 먹히네요.윗옷을잡고 짜니 땀이 주르르륵 흐릅니다.밥은 배고픈데 먹고싶지 않더라구요. 지쳐서 말입니다. 앉았던 자리 정리를 하고 삼불봉으로 오릅니다. 계단으로 된 탐방로는 한발 오르기 힘들게 지치네요. 햇볕에 달아오른 난간은 잡기에 뜨겁더라구요. 삼불봉에 오르니 시원한 조망이 힘을 내게 해 줍니다. 계룡산의 제일 높은 정상도 군사지역이라 통제되고 그래서 관음봉이 정상으로 인증되고 있습니다. 삼불봉에서 관음봉 가는 길은 암릉구간이 조망을 하며 갈 수 있는 곳이라 산행의 묘미를 즐기는 구간입니다. 관음봉아래 다달으면, 그저 한숨이 나와요. 봉우리 하나를 순 계단으로만 올라야하니까요. 그늘도 없는 여름 땡볕을 그대로 쐬며 오릅니다. 땀은 어찌 그리 날까요? 온몸의 물을 다 쥐어짜는 느낌입니다. 관음봉에 겨우 올라서니 정상은 파란 덥개로 덮여있고  공사중이었습니다. 정상의 정자는 공사자재와 공사하는 사람들 차지였어요.야자매트로 깔고 데크도 만드나 봅니다. 어쨌든 명산100  계룡산 관음봉 인증을 마치고 동학사 방향으로 하산합니다. 와~~~하산길은 또 어찌 그리 계단이 많은지, 돌로된 계단의 연속이었습니다. 내려가니 망정이지 이쪽으로 올라오면 죽음이겠다 싶었습니다. 하산길의 은선폭포는 바짝 말라 폭포라고도 할 수 없을지경이었습니다. 쌀개봉 표지석운 보니, 약간 디딜방아같은  모습이네요. 동학사로 내려가는 계곡은 모두 출입통제여서 발도 못 담그고 하산했습니다. 동학사 아래쪽 계곡은 피서객이 들어가 있었습니다.동학사부터 주차장까지 1.6km걸어와 산행을 마칩니다. 조금 오랜시간이 걸렸네요. 여름 뜨거운 폭염속 산행이었습니다. 물도 많이 마시고 안전산행 하세요.

posted by 산위의 풍경
새벽수영을 마치고 지인들과 하루 짧은 여행을 약속했습니다. 어디로갈까 고민하다가 그냥 영덕가자!로 결정하고 달려갔습니다.
네비게이션에 도착시간은 1시간55분 걸린다고 뜹니다. 가면서 강구항으로 낙점을 보았지요. 차량 밖 기온은 35도. 무지막지한 폭염이었습니다. 강구항에 도착해 점심을 먹고,바로 돌아오려다 여기까지 왔으니 사진이라도 남기자고 그 무더위에 해파랑 공원으로 나갔습니다. 바닷가는 생각보다 덜 더운 것 같았어요. 커다란 대게 조형물과 새를 모티브로 한 조형물이 인상적입니다. 4명이 걷다가 지인 두 분은 고무 냄새가 너무 난다며 그늘로 피신하고 둘은 공원을 마져 사진으로 남기자며 좀 더 걸었습니다. 공원 바닥재료로 깐 우레탄 바닥에서 뜨거운 태양열로 악취를 더하고 있어서 그건 좀 불편했어요. 날이 선선해지면 이 문제는 해결되겠지요? 넓은 공원은 그늘이 거의 없어서 더운 여름날 찾기는 좀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우리처럼 여기까지 왔으니....하는 사람들은 간혹 보입니다.평일에 찾은 강구항 여행은 조용하고 한산한 모습이었습니다. 영덕해파랑 공원, 사진은 예쁘게 나오네요. 좀 선선해지면 영덕대게 드시러 강구항 찾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대게조셩물과새를 모티브로 한 조형물

집게 한번 크다!

인증샷 남겨야지.

냄새를 유발한 바닥재

선탠하고 싶다.ㅋ

터널, 조금은 그늘~

영덕해파랑공원

강구항 모습

강구항은 대게 집들이 즐비하다.

강구항에서 나오는길.
강구항은 들어가는 다리. 나오는 다리 따로 일방통행

posted by 산위의 풍경
북한산 산행은 이삼년전에 갔었는데, 그때는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더 가파르고 힘들게 느꼈던 산행이었습니다.
7월14일 산행이었는데 어느새 거의 한달의 흘러가네요. 숨은벽쪽으로 올라 백운대 가는길, 풍경이 멋진만큼 암벽 암릉구간을 많이 걸어야 한다는걸 각오해야 합니다. 여름산행으로 암릉구간의 산행을 하려면 무더위도 즐겨야합니다. 이날 폭염주의보의 날이었습니다.
엄청 무덥지만 또 그 무더위와 함께 정상에 올랐다는 뿌듯함이 더해지는 산행이었습니다. 걷다보면 숨막히게 암벽에 가로막혀 공포스러운 산행로도 있고 멋지게 펼쳐진 북한산 산세에 감탄을 할때도 있었지요. 해골바위쪽에는 정말 시원한 바람으로 산행의 시름을 덜어내기도 했지요. 산행로는 잘 몰라도 트랭글 앱을 켜고 걷는 길, 이정표를 보며 가면 되니 걱정할것도 없었습니다. 이삼년전에는 북한산성길을 많이 걸었는데 이번에는 조금 다른 코스로 암릉 구간의 멋진 북한산 맛을 즐겼습니다.
산행 떠나고 나면 뿌듯하고 활력이 생기는 취미생활, 또 어디로 떠나볼까?

posted by 산위의 풍경
여름 산행으로 조금 긴 코스인 산행을 다녀왔습니다. 동대산에서 내연산 삼지봉으로 해서 문수봉을지나 보경사로 하산하는 코스입니다. 쟁암리쪽에서 동대산으로 오르는길은 산길은 부드럽고 순한데 무더위가 너무나 심했습니다. 바람 한점 없는 숲길은 높은기온과 습도로 한증막처럼 후끈후끈 합니다.
겹겹의 산속은 바람골이 막혀 숨막히게 더웠는데, 동대산을 지나면서 한고비 넘겼습니다.동대산은 내연산으로 가기위해 반드시 백코스로 다녀와야 합니다. 이제 능선으로 내연산으로 가면되겠구나 했는데, 산꾼들의 발길이 많이 닿지 않는지 희미한 산길과 훼손된 산로를 걷기가 고됐습니다. 간간히 보이는 여길 다녀 간 산꾼들의 시그널 표시가 없었다면 길을 잃을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희미한 길을 찾고 찾아 가는길, 점심을 초 스피드로 간단히 먹고 걷습니다. 우리가 가는길로 가면 내연산 삼지봉도 백코스입니다. 여기부터는 확실하고 넓은 등산로가 확보되어 마음 편안히 걸을 수 있는 코스입니다. 문수봉까지의 길은 거의 임도처럼 넓은 길을 걷다가 안내 이정표대로 걸어 보경사쪽으로 하산합니다. 많은 피서객들이 계곡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었습니다. 어찌나 부럽던지요. 주차장에 산악회 버스를 찾고 나서야  흐르는 물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포항 동대산 내연산 삼지봉, 5시간 넘는 코스로 여름  산행으로는 좀 긴 산행을 다녀왔습니다.

동대산ㅡ내연산ㅡ문수봉ㅡ보경사 12.40km
5시간7 분 산행

posted by 산위의 풍경
용문산 산행을 하고나서 맛 본  황해식당 산채청국장정식.
맛있었습니다. 산채전 하나 서비스 해 주셔서 더 맛있게 먹었습니다.
청국장은 직접 띄워사용한다던데, 확인은 불가능합니다. 가장 맛있게 먹었던 칠갑산산행 후에 맛본 충청도 청국장 맛이 났어요. 나물이랑 청국장 비벼먹으니 정말 꿀맛입니다. 시장이 반찬이라고, 용문산 산행후 먹어서 더  맛있게 느껴질수도 있을듯 합니다. 일찍 산행하느라 새벽 5시30분 친정 집에서 나와서 바로 산행하러 갔는데, 중간에 뭔가 먹을게 있을 줄 알았는데 일찍 문을 연 집이 없었어요. 그래서 양갱이랑 바나나만 갖고 올라 산행을 했거든요. 얼마나 배고팠겠습니까? 그래서 더 맛나게 먹을수밖에 없었을거예요. 양평 용문산 산행 후 맛본 황해식당 산채청국장정식, 입맛다셔지는 그맛, 다시 꼭 맛보러 가렵니다.

비빔그릇좀 주세요. 했더니 들기름 넣어서 주심

posted by 산위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