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여천 선소 유적지에 들렀어요.

물위에 새카만 새떼가 앉아 있습니다.

차가운 기온에 콧끝이 시큰합니다.

선소는 여천 선소부락에 있습니다.

천연적인 피난처이기도 했지만 굴강이라는 방파제를 쌓아 배를 보수하기도 하고

거북선을 최초 제작한 곳으로 전하기도 합니다.

유적지에서 나온 유물을 바탕으로 세검정과 수군기가 복원되어 있으며 대장간터는 간단히 복원되어 있습니다.

근처에는 돌로 만든 벅수가 세워져 있기도하며 선소 유적지 복원 사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여수는 이충무공과 깊은 유대관계가 있는 곳이지요.

전라 좌수사로 부임했고, 삼군통제사 본영도 여수였기 때문에 수군에게 가장 중요한 작전지역이었습니다.

또 세검정과 수군기는 1980년대에 발견된 유물에 따라서 복원되었는데, 주춧돌 간격으로 미루어 짐작으로 복원하였을뿐

그 크기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선소유적지는 인적없는 너무나 한산한 모습이었는데, 이곳에서 거북선이 만들어졌다니 역사적인 공간입니다.

잘 복원되어서 선조들의 호국 정신을 잘 이어가야겠습니다.

 

 

 

 

여수선소유적

 이충무공과 여수

임진왜란 일어나기 1년전인 1591년에 이순신은 전라좌수사로 이곳 여수에 부임

하여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였다.전라좌수영의 본영이었던 여수는 거북선을 처음으로 출정시킨 곳인데 1593년 (선조26년)8월부터 1601년(선조34년)

3월까지 삼도 수군통제영의 본영이기도 하였다. 이순신의 수군이 옥포,합포,당항포,율포,노량,명량,한산도등에서 거둔 승리는 조선이 왜적에게 7년 전쟁에서

승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여수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발자취가 곳곳에 문화유적으로 남아 있다. 거북선을 최초로 만든 선소, 공이 공적을 새긴 통제이공수군대첩비,공을 추모하며 세운 눈물의 비석 타루비, 국내 최초로 세워진 이순신 사당 충민사가 있다.

또한 나라를 구하는데 앞장선 승려들의 흥국사도 있으며 송현마을에는 효성이 지극했던 공이 전쟁중에 어머니 변씨를 모셔와 보살핀 곳도 있다.만약 호남이 없었다면 국가가 없었을 것이다. 라는 이순신의 글을 되새기게 하는 이곳 여수는 임진왜란때 위태로운 나라를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다.

새긴

 

 

 

 

 굴강 :임진왜란당시 거북선건조 및 대피했던곳

대장간터

물을 모으는 집수구와 쇠를 불에 달구어 버리는 단이로가 있는 것으로 보아 군기를 만들고 수리하던 대장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면은 인위적으로 만든 흔적이 있다.암반의 중심부분에 직경 10~20 cm 의 자갈들이 있는데 여기서 물이 계속 솟아 나와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단야로를 설치하기에 적합했던 것으로 보인다.

 

 

세검정은 집무 및 지휘소 기능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세검정 터에 남아 있던 주춧돌의 간격으로 보아 정면의 크기는 작아도 7칸에 길이 15.8m이었을 것으로 짐작 되는데 옆면의 크기는 알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1986년 맞배지붕의 앞면 은 7, 배 못들이 나온 것에서 군사 무기를 보관하던 창고로 추정되고 있다. 복원한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서향이다.

세검정과 수군기

 

 

 

 

 굴강

굴강은 조선시대 해안 요새에 만든 조그만 군사 항만시설로 선착장이자 방파제 역할을 하였다. 여기에 배가 머물며 고장 난 곳은 손보거나 군사 물자를 싣고 내렸다. '굴강'이라는 이름은 대피한 배를 보호하기 위해 방파제를 작은 만처럼 둥그렇게 만든 데서 유래한 듯하다.

면적 1388㎡,직경 42m 안팎의 타원형으로 거북선 두 체가 들어갈 만한 규모이다. 깊이는 돌벽 위에서부터 바닥까지 5-6m정도로 추정된다. 북쪽으로 폭 9m 정도 되는 ㅇ입구가 있다.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40-50cm 정도 되는 자연석과 깬돌로 막쌓기를 하였고 남은 돌과 흙으로 뒤를 채운 것으로 보인다.

1980년과 1985년에 한 발굴 조사에서 나온 쇠로 된 화살촉, 못, 쇠붙이 같은 유물 565점을 국립광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국가지정 문화제 사적 제392호 여천 선소유적복원사업 예정지

 

 

 여수 선소부락 벅수

벅수는 돌로만든 장승인거 아시죠?

 

 

 

posted by 산위의 풍경

 고소대는 진남관 맞은편에 있다.

진남관옆 전라 좌수영 다리를 건너가 올라가면 오른쪽으로는 이순신의 발자취를 따른 벽화가 새겨져 있다.

고소대에는 세개의 비석이 있다.

수군대첩비와 동령소갈비, 그리고 타루비이다.

타루비는 이순신이 해전에서 죽음을 맞이한 5년후 그의 부하와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모금하여 세운 비석이다.

비석을 바라보며 생각만 하여도 눈물이 난다는 타루비.

이순신 장군을 향한 충성심과 그리움이 그대로 묻어나는 타루비이다.

타루비는 보물1288호리다.

 고소대 올라가는 길에서 바라본  진남관

 

 거북선 축제

이순신 장군의 호국정신을 이어 받고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1967년 부터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영 수군을 이끌고 첫 출전 하였떤 날을 기념하여 진남제로 시작했고 해마다 5월3일부터 열린다.

 바다 속에 쇠사슬을 설치하다.

이순신 장군은 왜적이 갑자기 전라좌수영을 향해 쳐ㅡㄹ어올 경우를 대비하여 전라좌수영 부두의 동쪽 종포와 돌산도 사이의 바다를 가로지르는 쇠사슬을 설치하고자 성생원에서 돌을 깨어와 방어시설을 설치하였따.

 거북선을 만들다.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이순신 장군이 군관 나대용을 시켜

세계 최초 철갑 거북선 3척을 만들었따. 필요한 목재는 도란도 금오도 경도 등에서 베어와 사용하였다.

 

 여수에서 출전하여 승리하다

이순신 장군은 전라좌수사로 부임한 뒤 1년동안 전투 준비에 온 힘을 기울여 경강도로 나아가 싸울때 마다 크게 이겼다.

이 해전에는 전라우수영, 경상우수영, 수군도 참여했으나, 주력부대는 전라좌수영 수군으로서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이루어진 승리였다.

 여수가 삼도수군 통제영이 되다.

1593년 8월30일 이순신 장군은 전라도,경상도, 충청도 3도와 수군을 함께 이끌도록 삼도 수군통제사에 임명되었다.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사로서 삼도수군통제사를 겸하게 되자 그의

본여이었떤 여수의 전라좌수영는 자연히 삼도수군통제사의 본영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돌산 둔전을 일구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은 돌산 둔전을 일구었다.

이는 군량미 마련과 전쟁으로 인한 피난민을 안정적ㅇ로 정착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전라좌수영 수군은 계속하여 승리할 수 있었다.

 난중에 어머님께 효를 다하다.

이수신 장군은 1593년 팔순에 가까운 어머니를 고음천(웅천동 송현마을)정태수장군의 집에 모시고 수시로 문안을 드렸따.

하루는 늙어가는 아들을 보며 슬퍼할 머머니를 생각하며 문안가기 전 자신의 흰 머리를 뽑았다고 한다.

 왜적을 막으려 석인상을 세우다

이순신 장군은 군선들을 매어놓은 기둥이 밤에 왜적들에게 병사처럼 보여 접근을 막기 위해 전라좌수영 남문 밖 선소 등에 석인상 7개를 세워 두었으니

현재는 진남관 앞에 1개만 남아 있다.

 통제 이공 수군대첩비와 타루비

통제 이공수군대첩비(보물 제 571호,1615년)는 이수신 장군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비로 왕의 명령을 받고 이항복이 비문을 지었따.

타루비(보물제1288년),1603년)는 이순신 장군의 부하들이 그를 추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세운 비석이다. 동령소갈비는 대첩비 건립 경위를 적은 비로 충무동에 300여년 있따가 일제강점기에 철거하여 경ㅗㄱ궁 땅속에 감춰둔 것을 해방 후 찾아와 고소대에 세웠다.

 충민사, 석천사를 세우다.

충민사는 이수신 장군이 전사한 지 3년만에 선조대왕의 왕명으로 세운 이순신 장군의 최초 사액 사당이다. 조선수군의 본부였던 전라좌수영에 세워졌다는 점과 이순신 장군의 지휘아래 싸웠떤 현지 수군들이 사당을 세우는데 직접 참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충민사 옆 석천사는 이순신 장군을 기리며 충민사를 관리하고 제사했떤 의승수군 옥형 등이 살던 암자였다.

 전라좌수사 이순신 장군 여수에 오다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사가 된 것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 1591년 2월13일이었다. 이순신 장군은 순천부사 권준을 만난 후 성생원(율촌면)에서 쉬었다가 덕양역(소라면)과 석보창(여천동)을 거쳐 전라좌수영성에 도착하였다.

 

 

 

 

 

 고소대

일종의 포루로써 장래로 사용되었으며 충무공 이순신이 군령을 내리던 곳이라고 한다.

현재 이곳에는 이순신의 승리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통제이공 수군대첩비 , 이 비석의 건립 경위를 기록한 동ㄹㅇ소갈비, 이순신이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자 부하들이 공의 죽음을 슬펴하면서 세운 타루비가 있다.

 

 

 

 타루비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추모하기 위하여 1603년(선조36년)에 부하들이 세운 공덕비이다. 타루는 비석을 바라보면 눈물을 흘리게 된다는 중국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충무공 이순신을 추모하는 부하들의 충심이 비 이름에 그대로 묻어 있다.년(숙종 24)에 이수신을 숭모하는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 대첩비를 건립하는데 참여한 인물들과 그 경위, 그리고 건립하기 까지의 어려움 등이 기록되어 있따. 기록은 진안현감 심인조가 남겼다.

동령소갈비는 1698

 

 

 

 

 

posted by 산위의 풍경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