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기영각

파계사 기영각은 연잉군의 탄생설화와 관련하여 조선왕실의 위패를 모시던 전각으로 조선 숙종 35년  현응조사가 성전암과 함께 창건하였다고 한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고 지붕은 아름다운 곡선미를 보여주는 팔작지붕이다.  기둥 위에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하여 설치한 공포는 혀처럼 앞으로 뻗은 두 개의 익공 위와 아래를 연화와 연봉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조선 후기의 이익공계 모습이다.

 파계사 지장전

 

 

 

 

 파계사 원통전

팔공산 서쪽 기슭에 자리잡은 파계사는 통일 신라 애장왕 5년 심지왕사가 창건한 절로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조선 선조 38년 에 중건하고 숙종 21년에 다시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파계사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주불로 모시는 법당으로 원통은 진리는 원만하여 모든것에 통해 있다는 뜻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고, 지붕은 엄숙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맞배지붕이다. 기둥머리 위에는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커다란 역삼각형으로 짜 맞추어 장식한 공포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놓여 있는 다포 양식으로 조선후기의 특징적 모습을 잘 갖추고 있다.

 

 

 

 

 

 

 

 영조대왕의 도포

영조대왕의 도포는 1979년 파계사 원통전 관세음보살상을 금칠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제작연대는 건륭 5년*1740)9월로 함께 발견된 발원문에 의하면 영조대왕은 탱불일천불을 희사하고 파계사를 왕실의 원당으로 삼았으며 영조대왕의 청사상도포를 복장하여 만세유전을 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영조대왕이 직접 착용하였따고 알려진 이 도포는 무늬 없는 실로 된 홑옷으로 연한 녹색 빛이다. 깃의 모양은 목판깃과 당코깃 모양이 합쳐진 반당코깃이 달린 것이 특징이다.

영조대왕 도포는 현품이 그대로 본전되어 있고, 형태와 색상이 거의 완전하여 옛 옷의 꾸밈새를 살펴 볼 수 있어 복식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기영각

 

 

 

 

 

 

 

 

 

 

 

 

 파계사 진동루

파계사는 9갈래로 흩어져 있는 물줄기를 모은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진동루 누각은 9줄기 물의 기를 진압하는데 파계사라는 이름으로도 부족하다 하여 지었다고 한다.

조선 숙종 41년(1715)에 처음 지은 후 1970년과 1976년 두차례의 보수를 거쳐 현재 모습을 갖추고 있다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2층 규모이며 지붕은 아름다운 곡선이 돋보이는 팔작 이붕이다. 기둥 위에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하여 얹어 놓은 공포는 새 날개 모양의 익공 두 개가 짧게 앞으로 뻗어 있고 기둥과 기둥 사이의 중앙에는 당초넝쿨 문양으로 장식한 화반이 놓여 있는 이익공양식으로 조선시대 중.후기의 건축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조임금나무

영조는 조선21대 왕으로 숙종의 2남으로 어머니는 숙빈 최씨이다. 탕평책을 실시하여 봉당정치를 혁파하고 균역법을 실시하여 조세를 감면하는 등 정조와 더불어 조선시대의 가장 찬란한 학문과 문화의 꽃을 피운 임금이다.

파계사는 왕실의 원당이자 현웅스님의 도움으로 영조임금이 탄생했다는 설화와 그가 입었던 도포(중요민속자료 제 220호)를 간직한 절이다.

따라서 사찰내 가장 크고 아름다운 250년 정도 된 이 느티나무를 골라 영조임금나무 라 이름지었다.

 영조임금나무

보호수

수종 :느티나무

수령 250년

 

 

 

 

팔공산 파계사 일주문

posted by 산위의 풍경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어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자국도 섰지 마라 웃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에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라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쁜하게나 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잡혔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이상화 시인은 1901년 대구에서 태어나 계산동 고택에서 1943년 4월 25일 별세한 민족시인이다.

일본 침략시기에 대표적 저항 시인으로 손꼽힌다.

근대 문학에 한 획을 그은 큰 자취를 남긴 시인이다.

애국이 무엇인가를 글을 통해 실천하고 가르친 시인이다.

대표적 시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역천,통곡,시인에게,나의 침실로 등이 있다.

1925년부터 신경향파에 가담하여 사회성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며 대구에서 교편활동과  저술활동을 했다.

지금의 대구시 계산동의 이상화 고택은 1998년 이상화 기념사업추진위원회가 구성되어

2002년 고택 보존대책협의가 이뤄지고  이상화 고택보존을 위해 100만인 서명운동을 했으며 모금운동을 펼쳐 현재의 고택을

보존하게 되었다.

이상화 고택과 서상화 고택까지 보존하게 되었다 

 이웃해 있는 서상화 고택도 찾아보자.

다도 체험도 할 수 있다.

근대의 정신적 지주 두분이 이웃해 살았다는 것은 굉장히 신기하고도

대단한 일인듯 하다.

대구에서 배출된 가장 큰 인물들로 손 꼽을만 하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