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강화도여행중 가보고 싶었던 전등사,

이곳에 초등학교때인지 중학교때인지 가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여기 자기 빨간 바지 입고 찍은 사진 있지 않아?" 하는 남편의 말,

친정집에 있던 저의 어릴때 사진을 기억하고 있었네요

"응, 맞아요. 그때 갔던 기억이 있는데, 다시한번 꼭 가보고 싶어요."

그래서 전등사를 두둥 찾아갔지요

부처님 오신날이 가까워지고 있으니 입구부터 등을 달아 두었습니다.

대웅보전 앞 절마당은 울글 불긋 갖가지 전등이 차지를 하고 있네요.

사다리를 놓고 이제 막 설치를 하고 계셨어요.

전등사는 고려왕실의 원찰이라고 하더군요.

전등사 홈페이지에 소개되어 있는 우리나라 불교 유래의 역사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불교가 국교로 인정받은 것은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의 일이다.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고구려가 삼국 중 가장 먼저 불교를 받아들인 것이다. 이 당시 일반 백성들 사이에는 불교의 저변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대개 새로운 종교는 일반화 과정이 진행된 후 왕실이나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선포하기 때문이다.
고구려 소수림왕이 불교를 국교로 선포하자 전진의 부견왕은 법사인 순도(順道)와 불상, 불경 등을 고구려 왕실로 보냈다. 소수림왕은 성문사(373년 창건)와 이불란사(375년 창건)를 짓게 하고 성문사에는 순도, 이불란사에는 아도로 하여금 머물게 했다. 따라서 이 두 절은 한국 최초의 사찰로 기록되고 있다.

강화도는 섬 자체가 우리나라 역사의 축소판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선사 시대의 고인돌 유적부터 단군왕검의 얼이 담긴 마니산, 고려 때의 대몽항쟁과 팔만대장경 조성, 서양 세력과 처음으로 전투를 벌였던 ‘병인양요’에 이르기까지 강화도의 역사는 곧 한민족의 역사나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지금도 강화도는 역사와 문화의 섬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강화도에는 전등사를 비롯해 유서 깊은 사찰도 많이 터 잡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호국불교 근본도량인 전등사와 전등사보다 300여 년 후에 세워진 보문사 및 정수사가 손꼽힌다.
전등사는 현존하는 한국 사찰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졌으며, 부처님의 가피로 나라를 지킨 호국불교 근본도량으로 역사와 권위를 간직한 사찰이다. <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바와 같이 삼랑성은 단군이 세 아들(三郞)을 시켜 쌓았던 고대의 토성이었고, 삼국시대에는 토성 자리에 석성을 쌓아올려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삼랑성 안에 자리 잡은 전등사는 세 발 달린 솥을 거꾸로 엎어놓은 모양을 가진 정족산(鼎足山)과 더불어 강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문화 유적으로 유명하다.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서기 381년(고구려 소수림왕 1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성문사, 이불란사(375년 창건)에 이어 전등사는 한국 불교 전래 초기에 세워진 이래,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도량임을 알 수 있다.
처음 전등사를 창건한 분은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 화상이었다. 당시 아도 화상은 강화도를 거쳐 신라 땅에 불교를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도 화상이 강화도에 머물고 있을 때 지금의 전등사 자리에 절을 지었으니 그때의 이름은 ‘진종사(眞宗寺)’라 하였다.

--------------전등사 홈페이지에 있는 전등사의 유래-------------------

 

강화도는 역사의 현장의 한가운데서 오랜세월을 버티어온 우리땅입니다.

대몽항쟁으로 팔만대장경 조성, 서양세력의 침입을 막던 병인양요 등등 우리나라의 위기때마다 방패같은 역할을 했던곳이라 할까요?

전등사의 전신이 진종사라고 중국에서 건너온 아도화상이 머물러 지은 절이라고 하네요.

 

전등사가 역사의 전면에 다시 나타나는것은 병인양요.

바로 양헌수 장군이 프랑스 군대를 물리치는 현장이기도 하지요.

정족산에 위치한 전등사는 삼랑성안에 위치한것이지요.

전등사  대웅보전과 약사전을 지나 좀더 위쪽으로 가면

실록을 보관했던 사고가 있었습니다.

지금 그 안에서는 작은 전시회가 열리고 있고요.

사고를 마주보고 오른편으로 돌면 삼랑성 북문으로 오를수 있는 숲길이 있습니다.

북문만 오를려고 했는데, 사실 처음에 이길을 못찾고 사고에서 내려오면서  오른쪽으로 내려와서 숲길을 올라가니 서문이 나오더라구요~

서문에서 북문까지 더 걸었습니다.

그것도 구두를 신고.....아놔, 신발 갈아신고 올라올걸~

여기까지 오를줄 모르고 구두신은채로 원피스를 입고 산을 올랐어요.

이곳은 산성을 한바퀴 다 돌수 있나봐요.

'성돌이길 '이라고 안내판이 서 있었어요.

그리고 양헌수 장군의 승전비를 보실분은 동문으로 가세요.

전 요걸 못보고 와서 넘나 아쉬워요.

 한국사 공부를 해보니, 자꾸 자꾸 역사의 현장에 가보고 싶어 지는거 있지요?

공부를 하는 학생들은 책에서 보는것보다, 이렇게 현장에 가서 직접 체험해 보는것이 실질적 교육이 될것 같습니다.

오래 기억에 남고 말이지요.

강화도 여행, 아직도 갈곳은 많은데 시간이 좀 없네요.

다음엔, 고려궁지를 가볼게요~

요즘은 전등사에서 템플스테이도 하더군요.

이런 체험도 좋을것 같아요~

 

 

 

 

 

 

posted by 산위의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