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삼국의 수리시설이라고 한다면 제일먼저 떠오르는곳은 벽골제일 것입니다. 벽골제는 백제시대 330년경에 축조된것으로 알려지고

워낙에 큰 저수지다 보니까 호남, 호서라는 특이하게 지역 명칭이 생겨날 정도로 거대한 저수지입니다.

우리나라 저수지의 시조라고 일컬어지기도 하지요.

오늘 가본곳이 저수지라서 이렇게 장황하게 벽골제이야기를 시작 했네요.

크기야 벽골제만큼은 아니지만 세월만큼은 견줄만한 청제못.

벽골제보다200년정도 뒤에 만들어진것 같습니다.

이곳은 경북 영천에 있는 못입니다.

신라시대 법흥왕때 만들어진 수리시설이라고 하니 정말 오래된 수리시설입니다.

옛날 농경사회에는 벼농사가 굉장히 중요한 통치수단이 되었을 것입니다.

신석기 시대부터 농사를 시작하여 벼농사를 짓게 되고 그 수확물의 양에 따라 지배구도가 달라졌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이야 농사가 근본이 되는 시대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사회구조가 되었지만

옛날에는 농사가 가장 기본이 되는 생활이었으므로 농사는 국가의 중요한 재무구조가 되었겠지요?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수리시설 청제못은 지금도 영천  청제못 주변의 중요한 용수원이라고 합니다.

역사가 오래된 수리 시설이 면면히 이어져 오며 그 쓰임새가 아직까지 유효하다니 신기합니다.

그 터만 있는게 아니라 실제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사용되어 오고 있는것에 굉장한 의미가 있는것 같습니다.

보물 517호 청제비가 있는곳, 청제못이 있는 영천에서 전해 드렸습니다

영천 청제비

보물 517호.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 7-1

 

 

이 비는 신라시대 청못이라는 저수지 수축과 관련있는 양면비이다.

비는 화강암의 자연 판석으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114cm폭94cm 두께 16cm이다. 비면에는 행간이나 윤곽선은 없고  양면을 가공하여 글자를 새겼는데 그 양면의 비문은 각기 다른 연대와 내용을 담고 있다. 비의 한면에는 병진년 법흥왕 23년 536년의 간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을 처음 축조한 기념으로 새긴 것이다.

다른 면은 정원 14년 원성왕 14년, 798년 절대 연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의 일부 무너진 둑을 다시 수리한 사실이 적혀 있다. 이러하 비문 내용은 신라시대 벼농사 및 수리 시설과 관련이 있는점에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청제비 서쪽에 숙종 14년 1688년에 세워진 청제중립지가 있다. 비문에 의하면 효종 4년 1653년에 비가 두 동강이 나서 땅속에 매몰되어 그 고적이 전하지 못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여긴 세 사람이 다시 세웠다. 는 내용을 적고 있따. 위의 비문들은 1960년 12월 신라 삼신학술조사단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청제비 안내문에서.... 

 

 

 

 

 

 

 

 

 

영천 청제( 경상북도 기념물 제 152호)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437-1외 필

 이 저수지는 보물 제 517호 영천 청제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신라 법흥왕 23년 이전에는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종 지지류, 청제문부 등의 자료를 통해 수차레의 수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이쓰며, 신라 시대에 축조된 수리시설 중 현존하는 최고의 제언 중의 하나이다.

현재 재방 길이는 243.5m이며 높이는 12.5m로 흙으로 쌓은 저수지이다.

저수지 면적은 110,000이고 저수량은 약590,000ton이며 현재도 이 지역일대의 중요한 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 농업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청제 안내문에서.-

 

 

 

청제못에서 물 내려가는 곳은 바위를 깍아 물길을 낸듯 암반을 타고 물이 흐르고 있다.

 

 청제못 물 내려가는곳. 암반 사이로 물길이 있다.

 

 

 

 흙둑을 쌓아 만든 청제못 둑방

 영천 청제비 (보물 제 517호-1969.11.21지정)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 7-1

 

 

 

 

posted by 산위의 풍경

부산 영도는 절영도라고 일컬어 지던 세월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줄여서 영도라고 불리고 있지요.

흰여울길 산책에 나섰는데요, 일전에 포스팅 했던 영도다리 도개를 보고나서

삼진어묵 체험 전시관을 보고, 맛있는 점심을 먹고나서 느긋하게 걷는길이었답니다.

햇살이 부서지는 봄날같은 날씨와 바닷에 반짝이는 햇살이 아주 기분좋게 하는날이었습니다.

흰여울길. 봉래산에서 내려지는 여러갈래 물줄기가 마치 눈내리듯 하였다하여 붙여 졌다는 이름,,,,너무 어여쁘지요?

영도전차종착점 기념비를 지나면서 한컷.

지금도 전차가 있었다면, 참 멋질텐데 하는 아쉬움도 좀 있네요.

흰여울길에는 바다를 줄곧 볼 수 있는 조망이 열려 있어서 시원하고 몽환적이라는 수평선바라보기가 가능하지요.ㅋ

그리고 벽화의 아기자기한 모습도 보이구요.

최근 변호인의 한장면에 등장 했다는 주변을 찾아 따라하기도 해보고요...

이른 매화꽃 핀 모습에 뽕~

너무나 행복했습니다.

춥다고 웅크리고 어깨가 오그라 붙을 지경이었는데,

어느새 봄은 살금 살금 우리곁에 다가와 찰싹 붙어 있었는가 봅니다.

봄 나들이 하고 싶으시죠?

봄볕 좋은날, 부산 영도 해안 산책로 흰여울길로 떠나보세요~

 

 영도 전차 종점 기념비

 

 영도는 육지와 인접한 섬으로 말을 방목하기에 적당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어 삼국시대부터 절영진 설치 이전까지 나라에서 경영하는 국마장의 소재지였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성덕왕이 김유신의 공을 기려 그의 손자인 윤중에게 절영도의 명마를 하사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사에는 견훤이 태조 왕건에게 절영도의 명마를 선물로 중었다가 절영명마가 고려에 이르면 백제가 망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돌려받았다는 기록도 있다.

영도가 절영도라는 이름을 갖게 된 까닭도 국마장에서 기른 말이 하도 빠르게 내달리기 때문에 말 그림자가 땅에 비치지 않았다고 해서 붙였다는 것이다.

1867년 개항 이후 일제는 절영도를 목도라 부르며 군마를 길러 군사력을 강화하려 했고 해방 후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 이름 절영도를 줄여서 현재의 영도로 부르게 되었다.

 

 

 해안에서부터 높은 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마치 성벽처럼 보이는 흰여울길

이색풍경이다.

 흰여울길은 정영해안산책로 초입부의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흰여울길은 예전에 봉래산 기슭에서 여러 갈래의 물줄기가 바다로 굽이쳐 내림으로써 마치 흰눈이 내리는 듯 빠른 물살의 모습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흰여울길에서 바라다보는 바다풍경은 가히 몽환적이라 할 수 있다.

하늘과 바다가 만나는 수평선 너머로 시선이 달릴 때는 세상사의 모든 시름을 잊고 스스로 황홀경에 빠지는 착각을 일으킨다.

영화 첫사랑 사수 권기대회, 범죄와의 전쟁, 드라마 영도다리를 건너다 등 수많은 영화와 드라마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이곳 흰여울길 일원을 지역민과 문화예술인이 함께 하는 생활속의 독창적인 문화예술창작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2011년에 흰여울 문화마을이 탄생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함으로써 문화와 예술이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 점차 탈바꿈 되어가고 있다.

 

 

 

 

 청마의 해, 말 그림이 해학적이다.

 

 전선이 배를 가둔듯, 바다가 틈새로 보인다.

 

 

 

 

 

 

 

 

 

 

 

 

 

 

 

 

 사람이 보기만 해도 좋은지,,,,갸르르릉~~~

뒹굴 뒹굴 애교쟁이 아가씨~

 

 

 

 변호인 따라잡기중~

 

 

 

 

 바다에 부서지는 햇살의 은빛비늘이 나른하다.

갈맷길 도장 쾅 @@@

 

 

 

posted by 산위의 풍경
2012. 5. 24. 01:00 풍경 기행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산 20-2번지 일원 해발 368m고지에 위치한 산성 규모는 둘레 약 775m, 지난 5월 17일 부산 기념물 59호로 지정 받았다.

입수시설 규모는 폭 95~120cm이다.

기장산성은 초축 성벽, 수축성벽,증축 성벽, 해자, 남서쪽 문지등을 발굴해 공개 하였는데,

기장 군수님을 비롯 홍보팀및 대학 교수등 학술 관계자님들의 참여로 이루어 졌다.

(재)울산 문화재연구원에 따르면 집수지는 풍화암반을 직경 14.0m ,깊이 205~3.0m비스듬히 굴착했고, 평면 형태는 원형이며 상부 직경은 14.0m 하부직경은12.5m

단면 조사 결과 초축후 2차례에 걸쳐 수축과 증축이 이루어졌다.현재까지 잔존하는 호안은 초축시 축조한 것이며, 수축과 증축시 축조된 호안은 붕괴되어  확인되지 않는다.

호안 석축의 내외벽은동시에 축조 하였으며 내외벽 면석 사이에는 할석들을 이용하여 점토와 함께 채워 넣었다.

☆호안석축과 굴착면 사이 다짐토 및 바닥 하부 다짐토

☆이번 조사의 의의

1. 기장 산성은 축조와 관련한 기록이 전무하고 고고학적 조사가 이루어지지않아 지표상에 드러난 성곽의 형태와 채집 유물을 통하여 통일 신라시대 또는 고려시대 이전에 축조 도있을 것으로 추측되어 왔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성곽의 축조시기가 삼국시대로 확인 되었으며 초축 이후 통일 신라 시대~고려시대에 수축, 임진 왜란 전*후로 증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집수지의 초축시기는 바닥에서 출토된 단각고배의 편년으로 볼 때 삼국 시대 (7세기)로 추정되며, 몇 차례의 수축과 증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규모는 상부 직경 14.0m

 하부직경 12.5m 호안 서축 내벽 직경 8.5m, 깊이 2.5~3.0m 이다. 현재까지 발굴 조사된 평면 원형 집수지 중에서 가장 큰 것이다.

3.남서쪽 문지는 내옹성의 형태로확인되며, 평면 형태가 나팔상이다.  내옹성 하층에서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의 문지와 관련된 시설이 확인되었다.

------------------------기장 산성 학술(발굴)조사 자문 위원회의 자료집-----------------------------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이토록 오랜 역사를 가진 기장 산성 집수관이라는데에 자긍심이 생긴다.

기장 군민으로서 참여해 보았는데, 일반공개라는 신문기사를 보고 갔건만, 일반 시민은 참여 하지 않았고, 다수의 관계자들만 참여 하였다.

차후 기장 군민등 일반인에게도 다시 설명회를 가질 계획이라고 한다.

또 6.1일 기장군청 강당에서 남산 봉수대에 관한 학술 세미나도 열릴 계획이다.

관심 있는 사람들은 참여 하면  부산시민, 기장 군민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게 될듯하다.

더불어 남문지 밑 샘도 발견 되었는데, 실제로 발굴팀이 1달 반 음용수로 사용했다고 하고, 물맛이 달고 시원하다.

바위 암반 밑에 돌로 축조한 우물터로 보인다.

군청 관계자가 떠주는 물맛을 보니 괜찮았다.

실제 산행을 해도 물갈아 먹으면 탈이 잘 나서 절대 산물을 잘 먹지 않는데, 오늘 마셨다.  샘안에 가재가 살고 있다.

 

 

 

 

 

 우물을 돌로 쌓아 만든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설명하는 기장군청 계장님

 물을 떠주는 기장 군청 계장님~

감성적 스토리 텔링 로드가 생길듯 하다.

 

posted by 산위의 풍경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