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다산 기념관

이용시간 9:00~18:00(입장은 17:30)

 

 

휴관일 : 매주 월요일

관람요금

어른 개인 2000원, 단체 (20명이상 ) 1000원

청소년 개인 1000원, 단체 500원

어린이 500원, 단체 300원

전남 강진군 도암면 다산로 766-20

 

다산 기념관은 다산 정약용의 출생부터 성장, 관직생활과 유배생활, 해배 이후의 저술활동등 다산의 삶을 시기별로 나누어 전시되어 있습니다.

 

다산 기념관에 안내장에 쓰여진대로 다산 정약용의 약력을 옮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산(茶山)정약용

1762(영조38)~1836(헌종 2)

다산은 1762년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진주목사를 지낸 아버지 정재원과 어머니 해남 윤씨 사이에서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4세때 전자문을 배우고 10세때 자작 시집을 낼 만큼 총명하였다.

1777년 성호 이익의 저서를 접하고 실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따.

1783년 진사과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정조의 눈에 띄어 총애를 받게 된다. 1789년 문과에 급제한 후 정조의 총애 아래 규장각 초계문신을 거쳐 동부승지, 병조참의, 우부승지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배다리, 수원화성 거중기 설계 등 기술관료의 면모도 보여주었다. 경기도 암행어사 시절에는 백성들의 고통을 목격하고 목긴관의 의무를 절실히 깨닫게 된다.

정조 사후 천주고 사건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유배를 오게된다. 강진에서의 18년 유배생활을 학문연구와 저술활동으로 승화시켜 500여권의 방대한 저술을 이루게 된다.

해배 이후 고향으로 돌아간 다산은 자신의 저작을 총정리한 여유당집을 완성하고 1836년 7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 자택인 여유당 뒷산에 묻혔다. 1910년 문도 文度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다산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와서 다산초당에 머물며 집필에 집중했던 만큼 많은 업적의 서적과, 편지, 하피첩, 화성을 지을때 사용되던 거중기와 화성의궤등 정약용 관련 자료를 만나 볼 수 있는곳이 다산 기념관입니다.

정조를 만나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터 이지만

그것은 또다른 약점이 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정조와 대립을 이루던 정순왕후 바로 영조의 계비에게는 눈엣가시가 되었을겁니다.

정조가 승하한후 11세의 어린나이의 왕위에 오른 순조.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며 어린왕 순조는 아무 힘이 없었나봅니다.

정조의 업적이 거의 지워지다시피 하면서 정약용의 집안도 이 세월의 풍파에 휩쓸리게 되면서

유배의 길로 접어 듭니다.

그냥 좌절하고 주저 앉았다면 우리는 지금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나 흠흠신서를 만나지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어질고 백성을 사랑했던 개혁의 왕 정조를 만나서

실학을 꿈꾸고 실천하던 선비 정약용의 나래를 펼치는 세상이었을것 같습니다.

10년 계획의 화성을 2년 8개월만에 완성했다는 것은 그만큼  과학적 설계와 실용학으로 실천했기 때문일것 같습니다.

화성행궁으로 행차시에 배를 연결해 만들었떤 배다리 아시죠?

어마어마한 왕가의 행렬을 백성들은 굉장히 우러러 보았을것 같습니다.

정조대왕은 화성으로 옮기어 어머니를 모시고 살면서 양위를 할 생각이었다고 하는데,....

정조 대왕이 조금더 생존했었더라면 세상은 또 어떻게 달라졌을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는데요,

아무튼 정약용의 꿈과 이상이 담긴 서적으로 우리곁에 남겨져 있습니다.

다산 기념관, 강진 여행에 천천히 둘러 보시길 바래요.

 

 

 

 

posted by 산위의 풍경

휴일 뒹굴거리다가

문득 기장 향교에  5시까지 가면 내부를 볼 수 있다는 소리를 들어서

서둘러 기장군 기장읍 교리로 향했다.

대중 교통을 이용해서 기장 향교를 가려면 교리초등학교앞에서 하차하면 된다.

특별히 기장 마을버스 6번은 문화그린 아파트까지 가니까 그곳에서 하차하면 된다.

 마을버스 6번의 회차지점이기도 하고, 시내버스 39,139,183,36, 좌석버스 1003번까지 가지만 집에서 출발 할때가 이미 4시가 넘은 시간이라

급한 마음에 택시를 잡아 타고 갔다.

향교앞에 서니, 옆에서 얼큰하게 한잔 드신 어르신이 말을 걸어 오신다.

" 향교가 뭐하는덴줄은 알아?"

안그래도 향교 문이 잡겨 있어서 어쩌나 하고 있었는데

" 여길 볼 수는 없나요?"

했더니 지금은 볼 수 없다고 평일 오후 5시 전까지 오면 볼 수 있다고 하셨다.

" 그럼 직장인들은 기장향교를 절대 못보겠네요?"

하면서 "여기 올 때마다 잠겨 있어서 못봤어요"

했더니 거짓말이라고 하셨다.

정말 기장 살면서 휴일에 여러번 기장 향교엘 갔지만 항상 문이 잠겨 있는 모습만 보았다.

여기저기 알아보면서 향교를 관리하는 곳이 있다는것을 알았고

전화번호를 알게 되었다.

확인전화를 했더니 역시나 오후 5시전까지 와야 볼 수 있다고 했었다.

그래서 어떻게 지금 볼 수 없느냐고 말씀드렸더니, 지금 풍화루가 풍화되서 공사중이라 하셨다.

들어가 보라고 길을 알려 주셨다.

감사한 마음에 들어갔더니, 일하시는분 두분이서 대패밥을 마대에 담고 계셨다.

역시 부산 광역시 기념물 제 39호로 지정된 기장향교를 복원하는 일이라 제대로 나무를 깍아서 원형을 유지 하는것 같다.

한양에 성균관이 있었다면 각 지역의 교육은 향교가 담당 했을텐데, 전국에 향교가 많이 남아 있는것은 우리 민족이 예전부터 교육열이 높았나보다.

고려말에서 조선시대까지 대표적 관학 기관이며 지방의 민풍과 예속을 순화하고 인재를 양성할 목적으로 제행과 교육및 교화의 기능을 담당한것이 향교라고 한다.

기장 향교는 광해군 9년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지금 남아 있는 대부분의 건물은 이때 조성된 것이다.

건물의 배치형식은 직선축에 전학후묘의 전형적 배치로 경사지의 위계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외삼문은 3칸의 솟을 대문으로 세심문 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세심문 뒤로 풍화루가자리하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익공양식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취하고 있다.

대성전 정면은 기둥의 중간부분까지 초석이 올라와 독특한 입면을 이루고 양쪽 측면 벽에도 방화벽을 잡석으로 샇아 건물을 보호하려는 의지가 보인다. 정면 3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 내부는 넓은 대청으로 이뤄져 있다.

시도유형문화재 제 215호 (1983.08.12 지정)  문화재 215호 | 문화재 216호
 
분류
유적건조..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기장 향교 :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 417번길 35

 기장향교

051-721-3287

기장에 오래 살았지만 기장향교를 처음 들어가 보는 것도 새삼 스럽고 놀랍다.

풍화루가 제대로 복원이 되서 깨끗한 기장향교를 다시 만나고 싶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1&VdkVgwKey=23,00390000,21&queryText=(`기장향교`)z_title

 

 

 

 

 

 

 

 

 

 

 

 

 선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사당인 대성전

 

 대성전으로 연결되는 돌계단....

 

 

 

 

 

 

 이 대청에 앉아서 교육을 받았겠지.

 

 

 명륜당

 

 

 

 

 

 

 

 

 

 

 

 이 향교는 1617년(광해군9)에 창건한 것이라 하며, 1855년의 상묘중수기가 남아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경내의 건물은 대부분 이때 조성한 것이다.

향교는 1440년(세종22)선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이 자리한 전학후묘로 전형적인 배치양식이며, 경사지의 위계성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외삼문은 3칸의 솟을 대문으로 만들었고, 세심문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세심문 뒤로는 풍화루가 장대하게 자리한다.

보통 누각이 대문의 기능을 겸하는 것과는 달리 정면3칸, 측면 2칸에 중충인 푸화루는 익공양식에 겹처마, 팔작 지붕의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띠고 있다.

명륜당의 좌우에는 교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가 있으나 대성전에는 동서무가 없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인 대성전의 정면은 기둥의 중간 부분까지 초석이 올라와 독특한 입면을 이루고 있다.

양측 측면 벽에도 다시 방화벽을 잡석으로  쌓아서 비바람으로 부터 보호하려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 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다.

지금은 봄과 가을에 석전제를 봉행하고 있다.

돌담에 박하나 덩그러니....

 2014기장향교 충효교실 청소년 하계인성예절교실 개강 현수막이 붙어 있다.

 돌담이 푸근하다.

 

기장향교 세심문

posted by 산위의 풍경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