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산위의 풍경
산은 그리움이다. 그리움은 아픔의 다른 이름이다. 여행블로그기자단 기장군홍보단 기장군민필진 한국방송통신대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삼국의 수리시설이라고 한다면 제일먼저 떠오르는곳은 벽골제일 것입니다. 벽골제는 백제시대 330년경에 축조된것으로 알려지고

워낙에 큰 저수지다 보니까 호남, 호서라는 특이하게 지역 명칭이 생겨날 정도로 거대한 저수지입니다.

우리나라 저수지의 시조라고 일컬어지기도 하지요.

오늘 가본곳이 저수지라서 이렇게 장황하게 벽골제이야기를 시작 했네요.

크기야 벽골제만큼은 아니지만 세월만큼은 견줄만한 청제못.

벽골제보다200년정도 뒤에 만들어진것 같습니다.

이곳은 경북 영천에 있는 못입니다.

신라시대 법흥왕때 만들어진 수리시설이라고 하니 정말 오래된 수리시설입니다.

옛날 농경사회에는 벼농사가 굉장히 중요한 통치수단이 되었을 것입니다.

신석기 시대부터 농사를 시작하여 벼농사를 짓게 되고 그 수확물의 양에 따라 지배구도가 달라졌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이야 농사가 근본이 되는 시대라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사회구조가 되었지만

옛날에는 농사가 가장 기본이 되는 생활이었으므로 농사는 국가의 중요한 재무구조가 되었겠지요?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수리시설 청제못은 지금도 영천  청제못 주변의 중요한 용수원이라고 합니다.

역사가 오래된 수리 시설이 면면히 이어져 오며 그 쓰임새가 아직까지 유효하다니 신기합니다.

그 터만 있는게 아니라 실제 천년이 넘는 세월동안 사용되어 오고 있는것에 굉장한 의미가 있는것 같습니다.

보물 517호 청제비가 있는곳, 청제못이 있는 영천에서 전해 드렸습니다

영천 청제비

보물 517호.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 7-1

 

 

이 비는 신라시대 청못이라는 저수지 수축과 관련있는 양면비이다.

비는 화강암의 자연 판석으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114cm폭94cm 두께 16cm이다. 비면에는 행간이나 윤곽선은 없고  양면을 가공하여 글자를 새겼는데 그 양면의 비문은 각기 다른 연대와 내용을 담고 있다. 비의 한면에는 병진년 법흥왕 23년 536년의 간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을 처음 축조한 기념으로 새긴 것이다.

다른 면은 정원 14년 원성왕 14년, 798년 절대 연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의 일부 무너진 둑을 다시 수리한 사실이 적혀 있다. 이러하 비문 내용은 신라시대 벼농사 및 수리 시설과 관련이 있는점에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청제비 서쪽에 숙종 14년 1688년에 세워진 청제중립지가 있다. 비문에 의하면 효종 4년 1653년에 비가 두 동강이 나서 땅속에 매몰되어 그 고적이 전하지 못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여긴 세 사람이 다시 세웠다. 는 내용을 적고 있따. 위의 비문들은 1960년 12월 신라 삼신학술조사단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청제비 안내문에서.... 

 

 

 

 

 

 

 

 

 

영천 청제( 경상북도 기념물 제 152호)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437-1외 필

 이 저수지는 보물 제 517호 영천 청제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신라 법흥왕 23년 이전에는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종 지지류, 청제문부 등의 자료를 통해 수차레의 수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이쓰며, 신라 시대에 축조된 수리시설 중 현존하는 최고의 제언 중의 하나이다.

현재 재방 길이는 243.5m이며 높이는 12.5m로 흙으로 쌓은 저수지이다.

저수지 면적은 110,000이고 저수량은 약590,000ton이며 현재도 이 지역일대의 중요한 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 농업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청제 안내문에서.-

 

 

 

청제못에서 물 내려가는 곳은 바위를 깍아 물길을 낸듯 암반을 타고 물이 흐르고 있다.

 

 청제못 물 내려가는곳. 암반 사이로 물길이 있다.

 

 

 

 흙둑을 쌓아 만든 청제못 둑방

 영천 청제비 (보물 제 517호-1969.11.21지정)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산 7-1

 

 

 

 

posted by 산위의 풍경